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42)
백민석, 《과거는 어째서 자꾸 돌아오는가》, 2021년, 문학과지성사 한국 사회의 갈등 구조가 지역에 기초한 지역 갈등에서 계속 혹은 신분에 기초한 갈등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p.30 한국 사회는 새로운 타자, 새로운 타자의 문제를 위한 사회의 빈 장소를 항상 준비해 두어야 한다. p.35 사회적 공기라는 언어의 특성이 소설적 재현이 가지는 윤리의 기본, 디폴트 값이라는 의미다. p.69
신해욱, 《창밖을 본다》, 2021년, 문학과지성사 요즘 문지 에크리 시리즈를 애정하고 있다. 회사 일이 바쁘고, 스트레스가 많아 긴 호흡의 글을 소화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분량이 짧아 한 번에 읽을 수 있었다. 신해욱의 이 책은 산문이라기 보다 단편 소설처럼 다가온다.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가 흐릿해 마치 비가 내린 뒤의 인왕산처럼 어떤 신비로운 이야기를 보는 듯했다. 그녀의 다른 책들을 찾아 봐야겠다. 기다려진다.
윤광준, 《윤광준의 생활명품》, 2023년, (주)을유문화사 대상의 껍데기만 보는 사람을 관찰자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것이 놓인 위치, 다른 대상과의 관계 그리고 시간/사회 안에서의 가치를 통찰할 수 있어야 진짜 관찰자라고 할 수 있을 거다. 윤광준이 바로 “진짜 관찰자”에 해당한다. 그런데 관찰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소소한 물건에서 디자인과 효용은 물론 그것의 내력, 사회적 맥락을 조목조목 재미지게 설명하기까지 한다. 그가 설명하는 101가지의 물건들은 작게는 메모지에서 조명기구까지 다양하고 가격대 또한 넓게 분포한다. 작가 개인의 사용기에서 출발하나 싶었던 이야기가 그 물건으로 표상되는 사물과 사물 혹은 사물과 인간 간의 관계, 그런 사물이 있을 수밖에 없었던 사회로 번져간다. 이 책은 회사 근처에 있는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생활과 명품이라는 조합이 내..
3월 3일(일)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구본창의 항해》
2024년 2월 24일(토) : 송은 《제23회 송은미술대상전》 정서희, 박형진, 신미정, 박웅규 작가 그리고 물론 유화수 작가의 작품이 즐거움을 줬다.
2024년 2월 20일(화) : 프라이탁 맥북 슬리브 구입기 여러 가지 도구, 물품에 대한 평이 넘쳐나는 요즘이다. 일상생활에서 쓰는 작은 물건들, 예컨대 가방, 시계, 면도기 심지어 병따개 등에 쓰는 이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 곁들어 멋진 생활미학을 보여주는 글과 책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윤광준의 생활명품 101”도 바로 그 예다. 쓰임이 목적과 기능에 있다는 건 옛말이 되어 버렸다. 기능을 살짝 포기하더라도 디자인이 아름다우면 자연스럽게 손이 간다. 그만큼 생활에 쓰이는 물품들이 넘쳐나기에 이젠 기능만큼이나 디자인에 신경 쓸 수 있는 조건이 된 것 같다. 여기에 또 덧붙인 것이 “환경 친화”라는 요소다. 소비라는 메커니즘에서 디자인, 기능 거기에 환경 친환까지 결합하게 되면, 그건 소비의 죄책감을 극단적으로 줄여주는 마법이 된다. 내가 ..
2024년 2월 17일(토)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이신자, 실로 그리다》 항상 그렇다. 전시 초반엔 그렇게 바쁜 일이 있고, 귀찮거나, 급작스러운 일이 생긴다. 솔직히 다 핑계일 수밖에 없다. 결국 이렇게 폐막 마지막 주가 되어서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 왔다. 이신자 전시를 보러. 혹시 몰라 집에서 9시 45분쯤 차를 끌고 나왔다. 아무래도 요즘 날씨가 따뜻하다 보니 서울랜드를 찾는 어린이들과 가족 그리고 캠핑장을 찾는 캠핑족이 많을 거라 생각했기 때문에. 외길인 과천관 길이 막히면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어 버리니까. 다행히 10시 10분에 전시장에 입성했다. 사실, 이신자 작가에 대해 몰랐었다. 변명을 대자면 한국 미술사에서 공예는 여성작가, 주류 매체가 아닌 이유로 이중 소외를 겪고 있고, 서울공예박물관에 가야 볼 수 있는 매우 정적이며 수줍은 작품으로만 인식되었기 때..
Kelvin Kiptum (1999 ~ 2024) 도전이 사실 어려운 단어는 아니다. 누구나 맞이하는 하루하루도 도전 아닌가? 상상해봐라. 한 여름 출근길 입추의 여지가 없는 지하철 안에서 다른 사람과 살을 맞대지 않기 위해 최대한 움츠리고 있는 자신을. 9시는 거침없이 다가오지만, 내 차의 내비가 알려주는 도착시간 점점 더 멀어져가는 그 절망을. 하기 싫은 일을 하는 것, 나태, 권태와 싸우는 일상도 큰 도전이다. 다만, 반복되기 때문에 작게 보일 뿐. 잠깐만. 도전의 상징을 떠올려볼까? 아마도 42.195km, 8,848m일거다. 일상이 도전이라고 감각하기 힘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뭔가 수치화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앞에서 말한 일상의 도전을 수치화한다면, 이걸 하루 혹 주 단위, 월 단위로 환산한다면 꽤나 강한 도전의 숫자가 될 것 같다. (사실,..